* 이 글은 하이퍼 레터 7.0 (2024.9.30. 발행)에 게재되었습니다.
시아(SIA)는 2021년 카카오브레인의 언어 모델 KoGPT 2.0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여기서 '시아'는 '시작하는 아이'의 약자로, 이 약자에는 두 가지의 의미가 담겨 있다. 첫 번째는 시를 쓴다는 시작(詩作)이고, 두 번째는 어떤 일을 처음 한다는 시작(始作)이다. 2022년, 시아가 세상에 나온 즉시 얻게 된 '국내 최초 시 쓰는 인공지능'이라는 타이틀은, 어떻게 보면 제 이름과 몹시 닮아 있다.
시아는 인터넷 백과사전과 뉴스 등을 통해 한국어를 공부했고, 약 1만 2천 편의 시를 읽어 작법을 익혔다. 시아의 학습 과정은 단순히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넘어, 언어의 구조와 시적 표현을 이해하고 재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고 한다.
시아는 사용자가 제목을 입력하면 약 30초 만에 시를 생성해 낸다. 이 과정에서 시아는 학습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시적 표현을 만들고, 그렇기에 시아가 생성하는 시는 인간의 작품과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자연스럽고 심오한 내용을 담고 있을 때가 있다. 2022년에는 시아가 쓴 ‘작품’을 정리해 <시를 쓰는 이유>라는 시집으로 출간되기도 했다.
해당 시집에 담긴 작품 중 <죽은 햄릿 1>은 셰익스피어의 <햄릿>을 모티브 삼은 삶과 죽음에 대한 이야기다. 햄릿이 반복해 중얼거린다는 “나는 죽어야 할 사람이었다. 나는 죽을 권리를 가지고 있다.”란 문장은 우리로 하여금 페이지를 넘길 수 없도록 한다. <죽은 햄릿 1>에서 이어지는 <죽은 햄릿 2> 또한 읽는 자에게 문학적 정서를 불러일으키기는 마찬가지다. 죽은 햄릿이 여전히 목숨을 구해 돌아다닌단 소문이 돌고, ‘여기 아직도 죽은 햄릿이 있다’는 말이 계속해서 반복된다. 시의 구조는 새롭고 감각적이다.
하지만 첫 출시로부터 2년이 지난 지금, 시아의 작동 방식 자체는 더 이상 흥미롭다고는 말하기 힘들다. 2022년은 챗GPT가 등장하기도 이전의 해. 당시에는 시아가 상당히 혁신적인 인공지능인 듯 보였다. 그러나 지금은 인터넷에 대화 가능한 인공지능들이 즐비하게 놓여 있고, 그들은 두어 마디의 명령어로도 손쉽게 시 한 편을 완성해낸다. 당장 시아보다 완성도는 떨어지되, 그들이 시아만큼 발전하는 데에는 몇 년도 채 걸리지 않을 것이다.
그래도 시아 프로젝트는 예술의 민주화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예술, 그 중에서도 특히나 시 창작을 위해 개발된 AI는 시아가 최초다. 그 특별함은 쉽게 퇴색되지 않을 것이다. '예술가로부터 예술을 해방'한다는 개념은 기존의 예술 창작 패러다임에 도전장을 던지고, 창작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아는 인공지능과 예술의 융합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했으며, 이는 완전한 과거형이 아니다. 시아는 단순한 기술의 발전을 넘어, '예술가로부터 예술을 해방'한다는 개념으로 기존의 예술 창작 패러다임에 도전장을 던지고, 창작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 첫 발자국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글쓴이 한송연
한남대학교 국어국문창작학과 재학
취미 및 특기: 뭐든 쓰기, 뭐든 읽기, B급 콘텐츠 감상
'디지털포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포엠의 시대를 선언하다. (0) | 2025.01.07 |
---|---|
디지털 포엠 전시회 대표작 소개 (0) | 2025.01.06 |
디지털 시대, 문학의 새로운 물결: ‘디지털 포엠 전시회 : Digital Turn – 디지털 시대의 다중감각’ (0) | 2025.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