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하이퍼 레터 5.0에 개재되었습니다.
디지털 포엠(미디어 포엠) 창작자, 팀 [Unreliable Narrator] '박성후', '김석환' 작가 인터뷰
미디어 포엠 창작팀 [Unreliable Narrator]는 시라는 텍스트를 기반으로 소리와 비주얼에 관련된 최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2023년도부터 팀을 이루어 '미디어 포엠'을 만들고 있습니다. '나의 비명이 당신께 노래만 될 수 있다면' 등의 작품이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에서 공유되고 있습니다.
HN2 Project는 새로운 형식의 디지털문학 작품을 만들어가는 이 창작팀을 찾아가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고자 했습니다.
팀 [Unreliable Narrator]는 미디어 포엠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HN2Project에서는 디지털 포엠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인터뷰에서는 용어가 번갈아가며 사용될 수 있습니다.
Q1. 창작 및 용어로 사용 중인 미디어 포엠을 정의해 주세요.
A1. 기본 골자는 디지털 포엠과 같습니다만 미디어아트와 시의 유기성, 특히 음악을 제가 직접 만듦으로써 그 유기성을 강조하고, 제가 시의 리듬을 직접 안내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이는 단순 결합에 그치지 않고, 본 작품이 미디어아트가 되어야만 함을 설득하는 힘을 자아냅니다.
Q2. 미디어 포엠을 창작하게 된 배경 or 시적 지향성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A2. 시작은 우연이었습니다. 아는 사이였던 김석환 작가가 제가 사운드클라우드에 올렸던 랩을 바탕으로 미디어아트를 해보자고 하였고, 그때 저는 읽는 것만으로는 리듬이 다 전해지지 않는 것 같아 고민하던 시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 시를 음성으로 만들어올 테니 비슷한 작업을 해보자고, 제가 제안하였습니다.
미디어 포엠에서 제가 시적으로 지향하는 부분은, 무엇보다 읽는 맛이 살아있는, 일종의 힙합 같은 시냐는 여부입니다. 이미지적으로는 마그리트의 그림을 추구하는데, 그런 시가 추상적인 그림과 얽히면 시너지 효과도 낼 수 있겠지요. 시의 내용만 보면 특별히 미디어 포엠이어야만 할 시는 제 기준에서는 아직 없는데, 이에 관한 창작도 지향점 중 하나입니다.
Q3. 미디어 포엠을 창작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셨던 부분이 있다면 어떤 것인가요?
A3. 저는 텍스트와 음악을 담당하는 만큼 제 담당 분야를 제일 중요하게 여기지요. 그러나 제일 중요한 것은 시가 좋냐는 것입니다. 시가 좋고, 아리송함을 적절하게 자아낼 수 있어야, 자막과 음성 다르게 하기 등의 기법을 사용하였을 때 청자가 여러 번 볼 합당한 이유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한 번에 못 알아듣겠다는 감상을 들은 적이 있어 성공이라 여겼지요.
음악에서는 순전히 제 감각만을 믿고 걷다 길을 잃어버리는 경우도 많습니다. 제가 아무래도 비전공자이니까요. 그래서 음악은 정말 여러 번 해보는 것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영상 중, 제 전공인 수학이 이용되는 작품은, 작품에 고증의 오류가 없도록 제가 영상 감독도 담당합니다. 문예지에 실린 공집합과 실종 같은 경우는, 작품에 사용되는 요소의 세부적인 것을 제가 담당하였습니다.
Q4. 미디어 포엠을 몇 작품이나 작업하셨나요? 대표적인 창작 작품도 함께 소개 부탁드립니다! (1~2 개 정도)
A4. 미디어 포엠으로만 이루어진 시집 출판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35편 정도를 목표로 하고 있고, 현재는 대략 20편 정도가 있네요.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대중적으로 제일 성공한 “나의 비명이 당신께 노래만 될 수 있다면”과 문예지에 처음 실은 기념비적 작품인 “공집합”을 들고 싶네요. 전자는 유튜브 조회수 천을 찍은 제가 작곡한 곡이고, 후자는 내레이션과 간단한 음악으로 작품에 집중한 쪽입니다. 저희의 유튜브 채널에서 더욱 다양한 작품을 만날 수 있습니다. Unreliable Narrator로 검색해주세요.
<나의 비명이 당신께 노래가 될 수 있다면> 보러 가기 ⭢
Q5. 미디어 포엠의 작업 방식을 설명해 주세요. (팀 작업을 한다면 어떻게 작업하시는지? 역할 분담이 있는지?)
A5. 제가 시를 쓰고 음악을 만듭니다. 김석환 작가가 영상을 만들고, 서로 피드백합니다. 그렇지만 대개 서로의 결론을 존중하여 수정은 거의 없습니다. 좀 더 자세히 말하면, 제가 평소에 쓴 시 중, 미디어 포엠으로서의 가능성이 보이는 시를 선별합니다. 그 시를 어떤 식으로 표현할지 고민하여 음악을 붙입니다. 단순히 낭송할지, 곡을 붙일지는 솔직히 기분 차이 같습니다. 음악은 위에도 말했듯 제가 잘하지 않기에 시간을 있는 대로 투자해서 좋은 것을 건져냅니다. 완성되면 시의 의도를 전달할 수 있도록 리버브를 걸거나 음색을 조정하고, 이후 김석환 작가에게 음성을 보냅니다. 음성 상태로 대기 중인 작품이 몇몇 있어요. 그 이후의 작업 방식은 저는 모르겠네요.
Q6. 주위에 비슷한 작품을 창작하는 작가가 있나요?
A6. 일단 지금으로서는 박유하 교수님밖에 보지 못하였지만, 느낌이 좀 다른 듯합니다. 저희는 음악이 시와 미디어를 묶는 역할을 한다는 지향의 차이가 있다 보니, 작품의 결도 조금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Q7. 마지막으로 앞으로 어떤 창작을 해나가실지 알려 주세요!
A7. 어떤 창작이라기보다는 창작해나갈 예정입니다. 예정이라기보다는 그러는 중이고 그럴 것입니다. 미디어 포엠에만 국한되지 않을 것입니다. 더 다양한 방법으로 제 세계를 표출할 겁니다.
편집자 리뷰
디지털 포엠은 디지털 매체 상에서 창작, 유통, 수용되는 모든 형식의 디지털 시를 지칭해요. 작가님은 미디어아트와 시를 단순 결합하는 것이 아닌, 작품 자체가 미디어아트가 되어야 한다고 정의해 주셨어요.
현재까지 창작되고 있는 디지털 포엠 작품들과 미디어 포엠의 차이라고 한다면 작가님이 미디어 테크놀로지를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생각해요. 텍스트와 이미지, 영상과 음악 매체는 현재 디지털 포엠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어요. 그러나 작가님이 음악과 시를 창작하고 미디어아트화하고 있다는 점이 특별하게 다가오네요.
작가님은 텍스트와 음악 등 담당하는 분야를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시를 사랑해야 하는 마음을 강조하고 계세요. 시를 사랑하는 마음이 없다면 기존의 방식에만 머물 뿐, 다양한 시도를 하기 힘들어지죠. 따라서 시에 대한 애정은 전에 없던 창작 방법을 찾고 그를 실현하는 힘이 돼요.
HN2프로젝트에서는 디지털 문학 창작자분들을 섭외하여 함께 나아가고자 해요. 더 많은 디지털 문학을 창작하는 작가님들을 만나뵐 수 있기를 바라며 저희도 더 노력하겠습니다.
창작자 소개
이름: 박성후
이메일 주소 : psh20030604@gmail.com
약력: 2003년 진주에서 태어났다. 2018년 한국과학영재학교에 입학하여 부산으로 옮겨갔다. 2022년 한국과학기술원에 입학하여 대전으로 옮겨갔다. 2022년 진주에서 시집 쌍성계에 관한 고찰을 출간하였다. 2023년 계간 시와 편견으로 등단하였다.
편집자 : 오수민
'창작자 인터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포엠 '유재건' 작가 인터뷰 (0) | 2024.06.09 |
---|---|
디지털 포엠(미디어 포엠) 창작자, '김석환' 작가 인터뷰 (0) | 2024.03.21 |
디지털 포엠 송지윤 작가 인터뷰 (0) | 2024.02.12 |
하이퍼서사 <두꺼비/뻐꾸기 하우스> 김선규 작가 인터뷰 (1) | 2024.02.12 |
디지털 포엠 권하린 작가 인터뷰 (1) | 2024.02.12 |